뉴스 탈출 가이드/정치 뉴스 탈출 가이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란? 예산을 감시하고 심사하는 국회의 핵심 기구
mujilog
2025. 7. 1. 10:31
반응형
해마다 국가 예산이 편성되면, 그 내용을 꼼꼼하게 따지고 조정하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국회 내의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줄여서 **‘예결위’**라 불리는 상설 특별위원회입니다.
정부가 만든 예산안이 곧바로 실행되는 것은 아니며,
국민의 세금이 낭비 없이 쓰이도록 점검하고 조정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죠.
2025년에도 추경 편성을 둘러싼 논의가 계속되면서
뉴스에서는 “예결위 종합정책질의”, “예결위 소속 위원 간 논쟁” 등의 표현이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어떤 역할을 하는 조직이며,
우리는 왜 이 위원회의 활동에 주목해야 할까요?
📘 예산결산특별위원회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는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 추가경정예산안(추경), 결산, 기금운용계획안 등을
국회 차원에서 심사·검토·조정하는 국회 상설 특별위원회입니다.
즉, ‘세금이 제대로 쓰이는지 감시하는 국회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죠.
🧩 예결위의 주요 역할
역할설명
💰 예산안 심사 | 정부가 편성한 다음 해 예산안을 정밀 심사 |
💸 추경안 검토 | 경제 위기나 자연재해 발생 시 추가 편성된 예산안 처리 |
📑 결산 심사 | 전년도 실제 예산 집행 내역에 대한 감사 및 평가 |
💼 기금운용계획안 심의 | 각종 정부 기금이 적절히 계획됐는지 검토 |
🎤 정책질의 | 부처 장관들을 출석시켜 예산 편성 방향 질의 |
🏛️ 예결위는 어떻게 구성되나?
항목내용
설치 근거 | 국회법 제49조 |
위원 수 | 50인 이내 (교섭단체별 비율에 따라 배정) |
위원장 | 국회의장이 교섭단체 대표와 협의해 선출 |
활동 시기 | 매년 정기국회 전후, 또는 추경 시 긴급 소집 |
🔄 예산 심사 절차 (간단 요약)
- 정부가 예산안 편성 → 국회 제출 (매년 9월 말까지)
- 예결위에서 전체 예산안 종합 질의 및 부처별 심사
- 소위원회에서 조정 및 삭감/증액 논의
- 예결위 전체회의에서 수정안 확정
-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 → 정부 확정
🧠 참고: 예산안은 12월 2일까지 처리하는 것이 법정 시한입니다.
📈 예결위, 왜 중요한가?
- 💵 국민 세금의 사용처를 결정하는 핵심 기능
- 🧾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가 어디에 있는지 가늠 가능
- 🗣️ 정치권 간 정책 방향성과 철학이 가장 첨예하게 부딪히는 곳
- 🔎 시민단체·언론·국민이 국정을 감시하는 중요한 창구
💬 예결위 관련 자주 쓰이는 뉴스 용어
용어의미
종합정책질의 | 위원들이 기재부·각 부처 장관에게 예산 배정 이유 질의 |
감액심사 | 예산 중 낭비성 항목을 삭감하는 절차 |
증액요구 | 국회의원이 예산을 늘려달라고 요청하는 단계 |
추경 | 본예산 이외에 추가로 편성되는 예산 |
결산 | 작년 예산이 어떻게 쓰였는지 결과를 검토하는 절차 |
✏️ 마무리 요약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단순한 국회 조직이 아니라,
**국민 세금의 방향을 결정하는 ‘국정의 핵심 컨트롤 타워’**입니다.
우리가 낸 세금이 어디에 얼마나, 어떻게 쓰일지,
그 결과는 예결위의 결정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앞으로 뉴스를 보실 때,
“예결위에서 논의 중입니다”라는 문장을 만나면
**그것은 곧 ‘국가의 돈을 어떻게 쓸지 결정하는 순간’**임을 기억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