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탈출 가이드/국제 뉴스 탈출 가이드

사우디아라비아의 미래 도시 ‘뉴 무라바’란? 네이버도 진출한 중동의 초대형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mujilog 2025. 7. 1. 14:52
반응형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 중인 ‘비전 2030’ 프로젝트
석유 의존도를 벗어나 미래 산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 구조 개편을 목표로 합니다.
그 핵심에는 ‘네옴시티(NEOM City)’를 포함한 초대형 미래형 도시 건설 계획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또 하나의 프로젝트인 **‘뉴 무라바(New Murabba)’**가 전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국내 기업 네이버가 뉴 무라바에 첨단 기술을 공급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이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국내에서도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도대체 뉴 무라바는 어떤 도시이며,
왜 글로벌 빅테크들이 주목하는 걸까요?

이 글에서는 뉴 무라바의 정체와 건설 목적,
그리고 한국 기업이 공급하는 기술과 의미를 상세히 소개해드립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미래 도시 ‘뉴 무라바’란?


🧭 뉴 무라바(New Murabba)란?

항목설명
위치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Riyadh) 서쪽
규모 약 1,900만 m²(서울 여의도의 6배 이상)
개발 주체 사우디 국부펀드(PIF) 주도
건설 목표 세계 최대의 현대식 도심 복합공간 구축
완공 예정 2030년까지 1단계 완공 목표
 

'무라바(Murabba)'는 아랍어로 **‘정사각형’**을 의미하며,
뉴 무라바는 도시 자체를 정사각형 구조로 설계한 초대형 프로젝트입니다.


🏙️ 뉴 무라바의 핵심 특징

요소설명
🏢 무카브(Muqab) 세계 최대 실내 구조물, 도시의 중심 건축물 (높이 400m × 너비 400m)
🧠 스마트 인프라 AI, IoT, 자율주행 기반의 스마트 시스템 전면 도입
🌳 지속 가능성 80개 이상의 공원, 지속 가능한 도시 운영 목표
🏬 상업·문화·주거 융합 주거, 상업, 업무, 문화시설이 한 공간에 통합된 ‘혼합형 도시’
 

📌 한마디로 말하면:
“사막 한가운데에 만들어지는 초지능형 미래도시”


🔗 네옴(NEOM) 프로젝트와의 차이점

구분네옴시티뉴 무라바
위치 홍해 북서쪽 외곽 지역 수도 리야드 중심
성격 미래형 도시국가, 친환경 중심 첨단 복합 도심, 상업 중심
구조 직선형 도시(더 라인 등) 정사각형 중심, 수직 도시 구조
역할 국가 미래 산업 플랫폼 수도권 경제·문화 중심지 재건
 

🤖 네이버가 공급하는 핵심 기술

2025년 보도에 따르면, 네이버는 다음과 같은 첨단 기술을 뉴 무라바에 공급합니다:

기술 분야상세 내용
🤖 로보틱스 실내·실외 자율이동 로봇, 물류 및 안내 역할
📡 공간지능(3D 맵핑) 스마트 빌딩 내 실시간 공간 데이터 처리
🚗 자율주행 모빌리티 단거리 교통을 위한 AI 기반 이동 시스템
🧠 AI 플랫폼 도시 운영 데이터 기반 예측·제어 시스템 구축
☁️ 디지털 트윈 현실 도시의 쌍둥이 가상 도시 구현 → 실시간 시뮬레이션 가능
 

네이버의 클라우드·로봇·AI 통합 기술
사우디의 미래 도시 개발에 본격 진출한 상징적인 사례입니다.


🌍 뉴 무라바, 기대와 우려

구분내용
✅ 기대 효과  
 
  • 비전 2030 달성의 핵심
  •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
  • 신기술 실증 테스트베드
  • 한국 기업의 중동 진출 교두보

| ⚠️ 우려 요소 |

  • 과도한 자본 투입 → 지속성 의문
  • 기후·환경 문제 대응 한계
  • 도시 설계의 비현실성 지적
  • 근로자의 인권 문제
 

✏️ 마무리 정리

‘뉴 무라바’는 단순한 도시 개발이 아닌,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미래 전략을 상징하는 거대한 실험실입니다.
이곳에 한국의 기술, 특히 네이버의 AI·로봇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된다는 것은
국내 IT 산업에도 매우 고무적인 소식입니다.

다가올 2030년,
과연 우리는 어떤 도시를 보게 될까요?
뉴 무라바는 그 미래의 시작점이 될지도 모릅니다.

반응형